영원한사랑


사이코패스 뇌 구조 달라 죄책감 못느껴…"감정 이해기능 현저히 적어"

사이코패스 뇌 구조가 일반인과는 다르다는 연구결과가 공개됐다.

영국 킹스 칼리지 런던(KCL) 정신의학연구소 나이겔 블랙우드 박사팀는 8일 사이코패스의 뇌 구조 속 다른 사람의 감정을 이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특정 뇌 부위가 일반인보다 적다고 발표했다.

나이겔 박사 연구팀에 따르면 사이코패스로 분류된 범죄자 17명, 일반 반사회적 성격장애(ASPD) 범죄자 27명, 일반인 22명의 뇌를 자기공명영상(MRI)로 촬영한 것을 분석·연구한 결과로 사이코패스 뇌 구조에 관한 연구 결과는 ‘일반정신의학기록(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최신호에 발표됐다.

특히 사이코패스의 뇌는 ASPD범죄자나 일반인에 비해 전문 측 전두피질과 측두극의 회색질이 현저히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와 관련해 나이젤 박사는 “이 부분은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는 것 뿐 아니라 도덕적 행동을 생각할 때 활성화된다”며 “이 부분들이 손상되면 타인에 감정이입이 되지 않고 죄책감이나 당혹감 같은 자아의식적인 감정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고 설명했다.

서울대병원 정신과 권준수 교수는 이와 관련해 한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모든 정신질환과 마찬가지로 사이코패스도 뇌 기능의 문제로 설명하는 게 최근 과학계의 정설”이라며 “사이코패스의 원인으로 편도체의 기능 이상이 핵심”이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