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부도위험, 韓·中·日 정부 보다 낮아
삼성전자 부도 위험이 한국은 물론 중국이나 일본 정부보다 낮은 것으로 평가됐다.
16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외국 채권시장에서 삼성전자 신용부도스왑(CDS) 프리미엄은 0.50%포인트에 거래되고 있다. 한국(0.74%포인트) 영국(0.68%포인트) 중국(0.62%포인트) 일본(0.59%포인트) 정부보다 낮은 수준이다.
프리미엄이 낮을수록 부도 위험이 낮은 것을 의미한다. 삼성전자 채권 소지자가 제3자와 CDS 계약을 맺어 놓으면 삼성전자 채권이 부도났을 때 제3자에게서 채권 투자금액을 대신 상환받을 수 있다. 계약을 위해 채권 소지자는 제3자에게 수수료를 지급해야 하는데 이때 수수료가 CDS프리미엄이다.
CDS는 시장에서 거래할 때 채권 부도 위험성이 높아지면 프리미엄이 올라가고, 위험성이 낮아지면 프리미엄이 떨어진다. 이는 해당 기업이나 국가를 채권 투자자들이 얼마나 안정적으로 보고 있는지를 나타낸다.
삼성전자 CDS프리미엄은 평소 1%포인트 안팎을 유지하다 금융위기 여파로 2008년 10월 21일 6.60%포인트까지 치솟은 바 있다. 이후 빠르게 안정되면서 주요국 정부보다 부도 위험이 낮아졌다.
다른 대기업들도 빠르게 안정을 찾아가고 있다. KT(0.61%포인트) 한국전력(0.62%포인트) 등 프리미엄도 웬만한 정부보다 낮다.
최근 주요 기업과 정부 프리미엄이 역전되는 것은 전 세계적인 현상이다. 국가 부채가 크게 늘면서 국가가 파산할 수 있다는 '소버린 리스크(정부위험)'가 부각돼 정부 부도 위험이 주요 기업보다 낮게 평가되고 있는 것이다. 채권업계 관계자는 "유럽 국가를 중심으로 정부 빚이 지나치게 늘면서 디폴트(채무불이행)를 선언할 수 있다는 염려가 생기고 있다"며 "전반적으로 정부에 대한 신뢰가 떨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국제금융센터 관계자는 "정부는 주기적으로 외평채를 발행하는 반면 기업은 외화채권 발행 물량이 적어 CDS프리미엄 거래 수요가 적다"며 "국가와 기업 채권 간 발행 물량 차이가 커 정확한 가격 비교가 어렵다"고 말했다.
'세상다반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진영 아내 협의이혼 실패, 박진영 재산분할 소송 휘말리나? (0) | 2010.03.16 |
---|---|
닉쿤 계약 무산 (0) | 2010.03.16 |
이홍기 생일파티 모인 김희철-상추-장근석 대단한 인맥, 김희철 사진공개 (0) | 2010.03.16 |
김원준 점궤 (0) | 2010.03.16 |
김종민 “힘들 때 아버지가 그립다” (0) | 2010.03.16 |
세계 최초 중성인 등장…英서 호적변경 완료 (0) | 2010.03.16 |
티아라 공식사과 (0) | 2010.03.16 |
스타화보 조안 (0) | 2010.03.16 |
레고로 만든, 1.5m 크기 대형 스마트폰 (0) | 2010.03.16 |
줄리엔 강 고백 (0) | 2010.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