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원한사랑

추위 이기는 방법


1.손난로를 많이사서 많이 몸에가지고게세요

2.난로를 방안에다 많이 가져와서 많이틉니다

3.사람들을 많이 가져와서 다같이 껴안고 있습니다


4.빨간색옷을입습니다 빨간색옷이 추위를 없에줍니다

5.빨간색옷 입은 사람들과 같이 껴안고있습니다

6.손난로를 가지고 있는사람들과 껴안고 있습니다

7.몸을 많이 비빕니다 몸이 많이 따듯해집니다.

8.많은 사람들과 몸을 많이 비빕니다



조상들이 추위를 이기는 방법

겨울철 한복에 사용되는 옷감
(1) 명주 : 누에의 실샘으로부터 분비된 단백질이 주성분인 천연 섬유로서 그 광택과 촉감이
     우수하며 부드럽고 따뜻하다. 누에고치를 기르는 과정이나 섬유로 만드는 과정이 어려
     워 삼국시대 이후 명주나 비단옷은 일부 귀족층에서 주로 입었다.
(2) 무명 : 문익점에 의해 우리 나라에 도입되기 전까지 일반 서민들은 겨울에도 삼베옷을
     입었다. 그러나 문익점이 중국으로부터 목화씨를 들여온 후 무명이 전국적으로 보급되
     었다. 무명은 천이 부드럽고 손질이 쉬워 사계절 모두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였다.
star01_yellow.gif조상들의 겨울나기 물건

1. 조상들의 겨울나기 물건
(1) 버선 : 지금의 양말과 같은 것으로 겨울에는 천과 천 사이에 솜을 넣은 솜버선을 신어
     발을 따뜻하게 하였다.



(2) 풍차 : 외출용 방한 모자의 하나로, 남녀가 모두 썼지만 여자용은 술장식 등으로 장
     식을 했다. 볼끼 겉감에는 끈이 붙어있어 그 끈으로 턱 밑에 묶거나 볼끼를 위로 올려
     정수리에 묶기도 하였다.
(3) 토시 : 겨울철 손목 방한구로서 원래는 남자용이었으나 개화기 이후 부녀자들도 외출
     시 착용하였다.


조상들의 겨울 옷

1. 겨울철 한복의 특징

(1) 목화의 보급으로 두 겹의 천 사이에 솜을 둔 핫바지나 핫저고리와 같은 솜옷을 입었다.

(2) 바지에 대님을 매고 소매 끝에 토시를 끼고, 저고리 위에 조끼, 마고자 등을 겹쳐 입어

    추운 기후에 대응하였다.

(3) 외출할 때에는 방한과 의례용으로 솜두루마기나 누비두루마기를 입었다.

(4) 한복은 추위를 막기 위해 여러 겹 껴입었다.

 ① 남자의 경우 '속고의 → 바지 → 저고리 → 버선 → 대님 → 조끼 → 마고자

    → 두루마기'순으로 껴입었다.

 ② 여자의 경우 상의로는 '속적삼 → 속저고리 → 저고리 → 배자 → 두루마기'순으로 입었고,

    하의로는 '다리속곳(가장 밑에 입는 옷) → 속속곳(바지 밑에 입는 옷)

    → 바지속곳(단속곳 밑에 입는 옷으로 고쟁이라고도 한다)

    → 단속곳(바지 위에 입는 옷으로 길이가 약간 길다) → 너른바지(단속곳 위에 입는 옷)

    → 무지기(귀족들의 속치마) 또는 대슘치마(왕족들의 속치마) → 치마'순으로 입었다.

(5) 여러 종류의 방한용 모자를 써서 머리 부분의 추위를 막았다.


2. 겨울철 한복에 사용되는 옷감

겨울철 한복의 옷감 -  무명, 비단

(1) 명주

   누에의 실 샘으로 부터 분비된 단백질이 주성분인 천연 섬유로서

   그 광택과 촉감이 우수하며 부드럽고 따뜻하다.

   누에고치를 기르는 과정이나 섬유로 만드는 과정이 어려워

   삼국시대 이후 명주나 비단옷은 일부 귀족층에서 주로 입었다.

(2) 무명

   문익점에 의해 우리나라에 도입되기 전까지 일반 서민들은 겨울에도 삼베옷을 입었다.

   그러나 문익점이 중국으로부터 목화씨를 들여온 후 무명이 전국적으로 보급되었다.

   무명은 천이 부드럽고 손질이 쉬워 사계절 모두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였다.

조상들의 겨울나기 물건


(1) 화롯불

   추운겨울날 조상들이 불을 때며 따뜻하게 겨울을 보냈다.

                       

(2) 온돌

    현재의 보일러와 거의 같은 용도. 방을 따뜻하게 해 준다.


(3) 버선

   지금의 양말과 같은 것으로

   겨울에는 천과 천 사이에 솜을 넣은 솜버선을 신어 발을 따뜻하게 하였다.


(4) 풍차

    외출용 방한모자의 하나로, 남녀가 모두 썼지만 여자용은 술 장식 등으로 장식을 했다.

    볼끼 겉감에는 끈이 붙어있어 그 끈으로 턱 밑에 묶거나

    볼끼를 위로 올려 정수리에 묶기도 하였다.


(5) 굴레

   어린아이의 머리에 씌우는 수놓은 모자이다.


(6) 멱신

   짚으로 엮어 만든 방한용 신발이다.